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한국의 출생아 수 감소와 인구 감소 문제

by 경자파(경제적 자유를 위한 파트너) 2023. 9.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구감소에 따른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한국-출생아-감소-인구-감소-문제-대표사진
대한민국의 인구 감소로 인한 문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출생아 수가 9개월 연속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2023년 출산율이 역대 최저였던 0.78명보다 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예상이 나왔습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인구는 2019년 11월부터 44개월째 자연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매일경제뉴스-홍혜진기자-기사-참고
https://www.mk.co.kr/news/economy/10818582

 

2021년 2분기 출생아 수는 5만 6087명으로 전년 대비 4062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분기 기준으로 역사상 가장 적은 수치입니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와 취업난, 불안정한 사회 상황,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 결과입니다.


특히,

취업난이 출산계획을 미루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젊은 층들은 경제적인 안정을 위해 결혼과 출산을 늦추는 경향이 있는데,

그에 따라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매일경제뉴스-홍혜진기자-기사-참고
https://www.mk.co.kr/news/economy/10818582

 

또한,

여성들의 사회참여와 경제활동 참여율이 높아지면서 가족을 꾸리는 것에 대한 관심도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 같은 추세로 가면 올해 합계출산율은 역대 최저였던 작년의 0.78명보다 더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부는 출산촉진 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출산·양육휴가 확대, 육아복지 제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취업환경 개선과 경제적 안정을 위한 정책도 중요합니다.

젊은 층들이 안정적인 경제적 환경에서 결혼과 출산을 할 수 있도록 취업환경을 개선하고,

경제활동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론, 가족을 꾸리고 출산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문제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해결책도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와 시민 모두가 합심하여 출산율을 높이고,

나아가 인구 감소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